비트맵(1200dpi)와 그레이스케일(200dpi) 급답변 부탁드려요~.

비트맵(1200dpi)와 그레이스케일(200dpi) 급답변 부탁드려요~.

돌깍쟁이*^^* 3 4,169
안녕하세요.
문의사항이 있을 때마다 기웃거리며 도움 받는 회원입니다. ^^
제가 오늘 궁금한 것은 비트맵과 그레이스케일입니다...

요즘 책을 한 권 만드는데, 간단한 삽화가 들어가는 거거든요.
1도 짜리고 4컷짜리 간단한 만화나 씨앗, 빵, 생선 등의 그림이 들어가요.

제가 데이터를 미술부에서 받았는데요~.
비트맵에 TIF고, 해상도가 1,200이나 1,500, 사이즈가 가로는 1~4cm정도로 되어 있었어요.

쿼크 상에서 이미지도 너무 뭉개 보이고, 프린트를 보냈는데 함흥차사고 해서 제가 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, eps로 바꾸고 해상도를 200으로 수정한 뒤, 사이즈도 쿼크 화면보다 좀 크게 해서 %를 40-70사이로 줄여 집어넣었거든요~.
그렇게 해서 이미지를 큰 이미지는 2/3정도를 줄이고, 조그맣게 들어가는 부분은 4/5정도를 줄였어요.
그래도 쿼크에서 50%정도로 줄여 들어가게 했고요...

그런데 미술부 팀장님께서는 이런 경우는 비트맵 TIF, 해상도는 1,200이나 1,500정도로 많이 한다구...
그래야지만 이미지도 깔끔하다고... 그레이스케일로 만들면, 이미지에 음영이 진다며...
그러셨거든요~.

제가 수정한 부분에 문제가 있다고 하시는데...
제가 1도인데 문제가 크냐고 했더니... 문제가 있다고 하셔서요~.
얼마나 큰 문제인지 고수님들이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~.
좋은 하루 되세요. ^^

 

Comments

비주얼트리+미키+
출력시에는 큰 문제야 없겠지만.
미술부에서 비트맵tif의 1200dpi의 그림을 만든것은 이유있는 것이죠.
위의 상태로 만들었을때는 블랙앤화이트 100%의 뚜렷한 선으로 출력되어 인쇄상태 또한 선명하게 되지만.
그레이스케일로 바꾸게 되면 아무래도 경계되는 선들의 픽셀이 세분화되어 이미지자체의 경계가 약간은 뭉게지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.
이는 주로 명암차가 극명해야하는 도면이나 서류의 이미지 사용시 많이 사용되는데
본문에 들어가는 간단한 삽화들까지 굳이 그럴필요가 있을까하는 생각도 듭니다.
뭐, 굳이 그렇게 해서 좋은 게 있다면
혹여나 나중에 2도롤 바꾸어달라고 할때 삽화자체를 쿼크상에서 색변화 줄 때 용이하겠죠? ㄱ ㅅ ㅇ ㄴ^^* 
돌깍쟁이*^^*
데이터는 미술부에서 준 게 아니구요... 일본에서 온 이미지를 손대지 않고 그냥 앉히셧던 거였어요... 그리고 tif로 하는 경우 컬러를 주는 건 저도 아는데, 이번 책은 그냥 가는 거거든요~. 1,500dpi를 300으로 줄여 보면 가로 30센티, 세로 85센티 이렇게 나오는데... 실제 쿼크에 앉히는 사이즈는 가로 6센티 세로 17센티거든요? 그래도 그냥 두는 게 나은 건가요? ^^ 
비주얼트리+미키+
두어도 무방하지만, 역시 줄여도 무방하지 않을까하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. 
Banner
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